2025 대구 시내버스 노선 개편 사항 총정리합니다.
대구 시내버스 노선, 10년 만의 대규모 개편!
2025년 2월 24일부터 대구 시내버스 노선이 대폭 개편됩니다. 이번 개편은 10년 만에 이루어지는 것으로, 총 122개의 기존 노선 중 15개가 폐지되고, 20개의 새로운 노선이 신설됩니다. 기존 122개에서 127개로 증가하지만, 단순한 증설이 아니라 운행 효율을 고려한 전략적인 개편이라는 점이 눈에 띕니다.
노선 변경에 따른 정류소 및 운행 경로는 대구 버스정보시스템(노선개편 비교검색)에서 미리 확인할 수 있으며, 2월 중으로 정류소 및 시내버스 내 안내문 부착과 세대별 노선개편 안내책자 배부가 예정되어 있습니다.
📅 대구 시내버스 개편 개요
구분 | 기존 | 개편 후 | 증감 |
총 노선 수 | 122개 | 127개 | +5 |
신설 노선 | - | 20개 | +20 |
변경 노선 | - | 54개 | - |
폐지 노선 | - | 15개 | - |
존치 노선 | - | 53개 | - |
조정률 | - | 56.6% | - |
📌 시행일: 2025년 2월 24일(월) 📌 운행 정보: 배차간격, 정차정류소 등은 시행 과정에서 일부 변경될 수 있음
🚄 대구 시내버스 신설 노선
1️⃣ 직행버스(신설 2개)
- 직행1번: 학정동 ↔ 영남대 (중간 2개 정류장 정차, 소요시간 55분)
- 직행2번: 구지면 ↔ 동대구역 (중간 2개 정류장 정차, 228공원 정차)
- 🚀 직행버스는 급행요금 적용
2️⃣ 대구 급행버스(신설 3개)
- 급행9-2번: 동호동 ↔ 삼국유사면
- 급행9-3번: 동호동 ↔ 소보면
- 급행10번: 대천동 ↔ 반야월
3️⃣ 대구 간선버스(신설 6개)
- 320번: 검단동 ↔ 앞산공원
- 326번: 대곡동 ↔ 종합유통단지
- 501번: 성서산단 ↔ 연경동
- 504번: 방천리 ↔ 두리봉터널
- 520번: 매곡리 ↔ 반월당
- 725번: 동호동 ↔ 매곡리
4️⃣ 대구 지선버스(신설 9개)
- 남구2번: 앞산공원 ↔ 방천리
- 달서2번: 대곡동 ↔ 앞산공원
- 달서6번: 대곡동 ↔ 봉덕동
- 북구6번: 검단동 ↔ 대구은행역
- 북구7번: 관음동 ↔ 서대구역
- 북구8번: 관음동 ↔ 사수동
- 서구2번: 방천리 ↔ 상인동
- 수성5번: 가창 ↔ 두리봉터널
- 수성6번: 반야월 ↔ 들안길
🚧 대구 시내버스 폐지 노선
노선 개편으로 인해 운행 중단되는 노선도 있습니다. 폐지된 노선이 있다면 대체 노선을 미리 확인하세요!
- 급행: 급행4, 급행6
- 간선: 234, 449, 518-1, 750, 849-1, 909
- 지선: 달서4(-1), 동구2, 서구1(-1), 칠곡4, 칠곡6
폐지 노선 중 일부는 변경된 노선으로 대체 운행되므로 대체 경로 확인 필수!
🔄 대구 시내버스 변경된 주요 노선
노선 | 변경 사항 |
급행2, 급행8, 급행8-1, 급행9, 급행9-1 | 일부 노선 변경 |
101, 232(-1), 240, 304, 309 | 경로 조정 |
609, 618, 623, 650, 665(구.600) | 경로 변경 |
706, 707(구.939), 708, 719 | 경로 및 정류장 변경 |
동구10(구.980) | 기존 980번 노선 일부 유지 |
💡 대구 버스정보시스템(노선개편 비교검색)에서 개편 전·후 노선 비교 가능
🚌 대구 시내버스 개편의 특징
✅ 대구 도시철도와의 연계 강화
✅ 교통 취약지역 중심의 신설 노선 배치
✅ 중복 노선 최소화로 효율적 운행
✅ 직행 및 급행버스 신설로 빠른 이동 가능
✅ 출퇴근 시간대 주요 노선 배차 강화
✅ 노선 변경 안내문 및 배포물 배포로 혼란 최소화
🚀 대구 시내버스를 자주 이용하는 분들은 반드시 변경된 노선을 미리 확인하시고, 불편함이 없도록 대비하세요!